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1월, 2020의 게시물 표시

+ 뒷이야기

며칠 간 마음을 계속 추스르고 생각을 정리하는 중이다. [생각의 조각들] 1. 앙큼한 년, 얌체같은 기집애, 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아무하고나 연애를 시작할 애가 아닌데 그 짧은 시간에 교제를 시작하는 대상이 생겼다는 게 믿기지 않고, 아무래도 꽤 오래 전부터 어떤 교류나 신호 같은 것이 있었지만 내게 말하지 않았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합리적 의심. 그렇게 이제 연애를 시작했으니 내게 연락하지 않겠지. (실제로도 이미 그러고 있기도 하고.) 기껏 원안 검토를 부탁하거나 뭔가를 묻거나 학교일로 징징거리고 싶을 때에나 돼야 연락하겠지. 팔짱끼고 어디 두고보자 하는 마음으로 김선생이 실제로 그런 비열한 행태를 보이기를 기다리고 있는 마음도 있는 것 같다.   2. 그런 치사스러운 연락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는 건 관계를 끊고 싶기 때문이다. 그게 우리 사이에 반복되어 왔던 패턴이기도 하지만, 필요할 때에만 나를 찾는 김선생이, 내가 필요한 순간이 되었을 때에 비로소 야멸차게 버리는 느낌으로.  3. 김선생이 남양주에 살 때라든가, 미국 여행에서 있었던 일들 같은 것들이 계속 떠오르면서 자꾸 화가 난다. 배신감과 실망. 우리 관계는 뭐였을까, 나는 김선생에게 어떤 존재였을까. 끝내 자신의 속 깊은 곳까지 내게 다 내보이지는 않았던 김선생.   4. 총체적으로 인생 전반이 호구같았다는 평가가 내 안에서 일어나면서 그게 가장 힘들었던 부분 중의 하나였던 것 같다. 다짐했다. 나도 누구에게나 모든 것을 다 내보이지 말자. 등가 교환의 법칙을 손에 쥐고 살자. 충고하지 말고 조언하지 말고 우아하게 닥치고 있자. 내 말이 언젠가 내 발등을 찍는 도끼로 돌아올 것처럼. 4. 어쨌거나 스스로가 매력도 없고 인기도 없다고 느끼고, 진정으로 사랑받고 사랑해 본 경험도 부족하다고 평가하는 중에, 그게 저주받아서는 아닐까 라는 생각에 자주 사로잡혔다. 지금은 그러한 것이 운명이라면, 이 고독과 외로움, 초라한 느낌 같은 것들이 그 ...

김선생의 연애 개시 소식을 듣고

 복잡한 감정과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글을 쓴다. 1. 김선생의 고사원안을 검토해주며 얘기하다 최근에 교제하는 사람이 생겼다는 걸 알게 됐다. 며칠 전 바뀐 그의 프사를 보고 느낌이 심상치 않았는데 내가 감이 좋아서일까, 그런 것들은 어쩔 수 없이 드러나기 때문이었을까. 아무튼 그 순간 쿵 했다. 가까운 친구나 지인들이 결혼을 알려오는 순간을 약 10년간 수없이 많이 겪어왔고, 이젠 그런 것에 무뎌질 때가 되었으며, 최근에는 실제로 그런 소식들에 무감한 때가 더 많기도 했는데 오늘은 그렇지 않았다. (결혼이 아니라 연애일 뿐인데도!) 2. 떠오른 건 김선생의 예쁨, 여성스러움 뭐 그런 것들이었다. 여성스럽고, 가냘프고, 드세지 않아 보이고, 분위기도 있고, 도도하고, 보호해주고 싶은 그런... 남자들이 아주 선호할 만한 것들을 갖추고 있는 김선생. 그와 알고 지낸 지 20년이 다 되어 가는데, 그 중에서도 꽤 가깝게 지내며 자주 만났던 시기엔 내심 그와 나의 외모(를 비롯한 자아내는 분위기)를 비교하며 자기비하에 박차를 가하기도 했다. 그에게는 있고 나에게는 없는 것...나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 3. 그런 비교의 마음이 다시 강렬하게 떠오르자 그게 너무 아팠고, 그런 아픔은 꽤 오래된 것이었다는 게 분명히 느껴졌다. 중학생 때,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오래 전부터 나는 매력적이고 인기가 많아 늘 중심에 서 있는 대상과 내 자신을 비교하며 괴로워했던 것 같다. 꼬마 때 동네 오빠들 사이에서, 남녀공학 중학교의 학급 안에서... 객관적으로는 내 자신이 모든 면에서 부족한 점이 별로 없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이성으로부터 인정받는 일에서만큼은 위축되고 자신이 없었다. 나이가 들며 그런 것에 대해 집중하는 일이 줄어들고 가치를 두는 영역이 좀 달라지면서 그런 기억들이 희미해졌다. 그래서 그런 기억들은 어렸던 한 때에 스쳐지나가는 것들이라 생각했나보다. 괜찮다고, 괜찮아졌다고 여기며 살다가 크게 뒤통수 한 방을 얻어맞고 무너져내리는 심정.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