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간 마음을 계속 추스르고 생각을 정리하는 중이다. [생각의 조각들] 1. 앙큼한 년, 얌체같은 기집애, 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아무하고나 연애를 시작할 애가 아닌데 그 짧은 시간에 교제를 시작하는 대상이 생겼다는 게 믿기지 않고, 아무래도 꽤 오래 전부터 어떤 교류나 신호 같은 것이 있었지만 내게 말하지 않았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합리적 의심. 그렇게 이제 연애를 시작했으니 내게 연락하지 않겠지. (실제로도 이미 그러고 있기도 하고.) 기껏 원안 검토를 부탁하거나 뭔가를 묻거나 학교일로 징징거리고 싶을 때에나 돼야 연락하겠지. 팔짱끼고 어디 두고보자 하는 마음으로 김선생이 실제로 그런 비열한 행태를 보이기를 기다리고 있는 마음도 있는 것 같다. 2. 그런 치사스러운 연락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는 건 관계를 끊고 싶기 때문이다. 그게 우리 사이에 반복되어 왔던 패턴이기도 하지만, 필요할 때에만 나를 찾는 김선생이, 내가 필요한 순간이 되었을 때에 비로소 야멸차게 버리는 느낌으로. 3. 김선생이 남양주에 살 때라든가, 미국 여행에서 있었던 일들 같은 것들이 계속 떠오르면서 자꾸 화가 난다. 배신감과 실망. 우리 관계는 뭐였을까, 나는 김선생에게 어떤 존재였을까. 끝내 자신의 속 깊은 곳까지 내게 다 내보이지는 않았던 김선생. 4. 총체적으로 인생 전반이 호구같았다는 평가가 내 안에서 일어나면서 그게 가장 힘들었던 부분 중의 하나였던 것 같다. 다짐했다. 나도 누구에게나 모든 것을 다 내보이지 말자. 등가 교환의 법칙을 손에 쥐고 살자. 충고하지 말고 조언하지 말고 우아하게 닥치고 있자. 내 말이 언젠가 내 발등을 찍는 도끼로 돌아올 것처럼. 4. 어쨌거나 스스로가 매력도 없고 인기도 없다고 느끼고, 진정으로 사랑받고 사랑해 본 경험도 부족하다고 평가하는 중에, 그게 저주받아서는 아닐까 라는 생각에 자주 사로잡혔다. 지금은 그러한 것이 운명이라면, 이 고독과 외로움, 초라한 느낌 같은 것들이 그 ...